팀장님이 강력 추천하신 전설의 SQL 학습서로 SQL을 공부하며 내용 정리
팀장님은 이 책으로 쿼리ㅄ에서 쿼리 달인이 되셨다고 강력 추천하셨다.
책이 매우 올드하고 이미 오래 전에 절판되었지만, 저자의 블로그에 가보니 실제로 평가도 좋고,
책을 구하려는 사람들이 아직도 존재한다.
하지만 책 표지를 보면 학습 의욕이 떨어지기 마련이라 책 표지는 가급적 쳐다보지 않는게 좋을 것 같다.
SELECT를 위하여 반드시 기술되어야 하는 절: SELECT
, FROM
즉, 어떤 테이블(FROM 절)에서 어떤 컬럼(SELECT 절)을 읽어올 것인가는 필수 사항.
그 뒤에는,
- 자료에 조건을 부여하여 제한을 주는
WHERE
절 - GROUP 함수를 사용하여 자료를 그룹화할 때 필요한
GROUP BY
절 - GROUP 지은 결과에 조건을 부여하여 제한을 주는
HAVING
절 (GROUP BY
필요) -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정렬할 수 있는 ORDER BY 절
DML vs DDL vs DCL
DML - Data 삽입, 삭제, 수정, 조회
DDL - Data 정의(CREATE, DROP, ALTER)
DCL -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을 정의
SELECT name,
salary/18,
salary*2/18
FROM temp;
SELECT name,
10000 + salary/18,
20000 + salary*2/18
FROM temp;
- DML을 이용할 때는 항상 NULL을 고려해야 한다.
- NUMBER 형 자료를 NULL과 연산(+, -, *, /)하면 결과는 항상 NULL
- 숫자형 컬럼이나 변수에 NULL이 들어갈 우려가 있다면 0이나 1등 다른 숫자로 치환 후 연산에 사용한다.
- 문자형 컬럼이나 변수에 NULL이 들어갈 우려가 있다면 ' '(스페이스)나 다른 특정 문자 값으로 치환하여 조건 절에 이용한다.
- NULL인지 비교
WHERE a IS NULL
WHERE a IS NOT NULL
- 절대
a = NULL
또는a <> NULL
로 사용하면 안된다.
SELECT name
FROM temp
WHERE hobby IS NOT NULL;
Alias는 이름 뒤에 한 칸 이상 띄고 Alias명을 주는 방법과 as 뒤에 기술하는 방법이 있다.
SELECT id i,
name as n
FROM temp;
Alias는 편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SELECT id,
code,
name
FROM temp,
t_dept
WHERE t_dept.code = temp.code
결과: ERROR (열의 정의가 애매합니다.)
위의 예시처럼 동일한 컬럼(code)이 복수의 테이블(temp, t_dept)에 존재할 때,
어떤 테이블의 칼럼인지 명시하지 않으면 에러 발생.
SELECT id,
temp.code,
name
FROM temp,
t_dept
WHERE t_dept.code = temp.code
그러므로 위와 같이 컬럼 앞에 테이블 명을 명시해야 한다.
하지만 테이블명이 길면 컬럼마다 테이블 명을 명시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테이블에 Alias를 짧게 주고 사용하면 훨씬 편리하다.
SELECT id,
a.code,
b.name
FROM temp a,
t_dept b
WHERE a.code = b.code;
- Self Join의 경우
Self Join에서 자기 자신의 테이블과 Join이 일어나는 경우 모든 컬럼이 중복된다.
이 때, 컬럼 앞에 테이블 명을 명시해도 Self Join에서는 구분되지 않는다.
때문에 이러한 경우 테이블 Alias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 ROWNUM을 사용하거나
- TREE 구조의 전개시 LEVEL값 등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값들이 Inline View 안에서 사용된 후, 다시 이들을 FROM 절로 사용하는 Query에서
Rownum이나 Level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컬럼 Alias를 사용해서 SQL을 작성해야 한다.
SELECT a.id,
a.name,
b.boss_id,
c.name
FROM temp a,
t_dept b,
temp c
WHERE b.code = a.code
AND c.id = b.boss_id;
위의 예시에서 사원번호(id)와 이름(name)을 가져오기 위한 temp와,
팀장번호(boss_id)와 일치하는 이름(name)을 가져오기 위한 temp는 같은 테이블이지만
Self Join으로 중복 사용되었으므로 위와 같이 Alias를 사용해야 한다.
Concatenation은 함수의 일종이다.
복수의 문자열을 연결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만들 때 사용한다.
CONCAT
함수를 사용하거나 합성연산자(||)
를 사용
temp의 자료 중 NUMBER형인 id와 VARCHAR2형인 name을 합성연산자로 묶으면,
SELECT id || name
FROM temp;
결과는 이상 없이 마치 문자열을 묶은 것 처럼 나온다.
흔히 숫자형을 문자형으로 바꿀 때는 TO_CHAR라는 함수를 사용하지만 위의 경우처럼 자동변환도 가능하다.
조건절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 WHERE.
조건절은 질의문이 반환해야하는 결과값을 제한하는 역할.
조건이 여러 개 연결 될 때는 AND
나 OR
로 묶어서 나열 가능.
2개 이상의 테이블이 어떤 컬럼을 기준으로 join이 걸린다면 그 join 조건도 WHERE 절에 기술.
조건절에 기술된 컬럼이 INDEX가 존재하면 해당 INDEX가 실행계획에 포함된다.
단, 컬럼을 함수로 가공하거나 NOT
연산자가 쓰이는 경우에는 제외된다.
Primary Key로 지정된 컬럼은 자동으로 INDEX가 생성된다.
DML(SELECT, DELETE, UPDATE, INSERT)을 수행할 때 OPTIMISER가 관여한다.
OPTIMISER는 수행하고자 하는 DML을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적화 경로를 찾아준다.
OPTIMISER는 최적화 경로를 찾기 위해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실행 계획
을 작성한다.
- 어떤 테이블을 먼저 읽을 것인가?
- 테이블을 읽을 때 인덱스를 이용할 것인가?
- 어떤 인덱스를 이용할 것인가?
- Join 이 필요한 경우 어떤 방식으로 Join 할 것인지?
그리고 이 실행 계획
에 의해 DML이 수행되고,
OPTIMISER가 선택한 최적화 경로인 수행 경로를 PLAN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DML이 어떤 경로를 통해 DB에 ACCESS 했는지 보여주는 일종의 순서도이다.
EXPLAIN PLAN SET STATEMENT_ID = '임의지정' FOR
SELECT id, name
FROM temp
WHERE id > 0;
RECORD가 테이블에 저장될 때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다.
자료가 DB의 BLOCK 상에 쌓이는 원리는 테이블 CREATE시 지정하는 PCTFREE
와 PCTUSED
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게 순서없이 저장된 자료를 특정한 순서에 맞게 보기위해 ORDER BY를 사용한다.
RECORD가 정렬되는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ORDER BY 외에도
QUERY시 내부적으로 SORT가 일어나는 경우와, INDEX가 사용되는 경우 등이 있다.
SELECT id, name
FROM temp
ORDER BY id DESC;
ORDER BY 절은 SELECT 문장의 마지막에 기술한다.
기본 값은 ASCENDING(오름차순)이며, 컬럼 뒤에 DESC
를 붙이면 DESCENDING(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SELECT level, id, name
FROM temp
ORDER BY 1, 2 DESC;
//결과
level로 ASC 정렬 후, id로 DESC 정렬
위와 같이 ORDER BY에 컬럼명 대신 컬럼 순서를 기술해도 된다. (위의 결과를 눈여겨보자)
BLOCK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저장 단위로서 입출력시의 최소 단위이다.
BLOCK의 구조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나뉜다.
- HEADER
- TABLE DIRECTORY
- ROW DIRECTORY
- FREE SPACE
- ROW DATA
- 블록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포함 ex) 블록의 주소
- 블록 안에 존재하는 ROW를 소유하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 포함
- 각 ROW의 주소 등 블록 안에 존재하는 ROW들에 대한 실제 정보 포함
- Null 컬럼의 값이 NOT NULL로 UPDATE 될 때 추가적인 공간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때 처럼 ROW의 변경이나 새로운 ROW의 삽입 시 필요로 하게 되는 추가적인 공간을 위해 확보된 영역
- 테이블이나 인덱스의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하는 영역
- 이미 블록에 쓰여진 ROW의 UPDATE나 INSERT를 위해 예약되는 공간
예를 들어PCTFREE 20
과 같이 값을 잡아주면,
블록의 공간 중 20%를 이미 블록에 쓰여진 ROW의 UPDATE나 INSERT를 위해 사용하지 않고 남기겠다는 의미.
- PCTUSED에서 지정한 영역만큼만 FREE SPACE가 남게 되면 오라클은 더 이상 해당 블록에 새로운 ROW를 삽입하지 않는다.
사용 공간이 ROW의 삭제 등으로 PCTUSED에서 지정한 값 아래로 떨어지면,
그 때 다시 해당 블록에 새로운 ROW가 삽입될 수 있다.
WHERE ~~~ LIKE 'A%'; // A로 시작되는 ROW 검색
WHERE ~~~ LIKE '%A%'; // A가 들어가는 ROW 검색
WHERE ~~~ LIKE '_A____'; // 6자리 중 2번째 자리에 A가 들어가는 ROW 검색
WHERE name BETWEEN '가' AND '나' // name이 'ㄱ'으로 시작되는 ROW 검색
- OR 조건으로 연결될 조건을 한 번에 기술하는 역할
WHERE name IN ('홍길동', '김길동');
위의 IN 연산자로 기술된 문장은 OPTIMIZER에 의해 실행계획 작성 전에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WHERE name = '홍길동'
OR name = '김길동';
- 특정 컬럼이나 값을 기준으로 ROW를 묶어서 자료를 다룰 때 사용
// 각 직급별 최고연봉
SELECT level, MAX(salary) max_sal
FROM temp
GROUP BY level;
- GROUP BY를 하면 검색 대상이 되는 모든 자료를 GROUP BY에 기술된 컬럼 순서로 SORT 영역에서 정렬 작업이 먼저 이루어진다.
- GROUP BY 된 결과를 제한할 때 사용
SELECT level, AVG(salary)
FROM temp
GROUP BY level
HAVING AVG(salary) > 50000000;
// 직급별로 사번이 제일 늦은 사람을 구하고, 그 결과 내에서 사번이 1997로 시작하는 결과만 쿼리
SELECT level, MAX(id)
FROM temp
GROUP BY level
HAVING MAX(id) LIKE '1997%';
- 함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
- 단일 행 함수
- GROUP 함수
- 공통점
- 결과로 반환하는 ROW는 하나
- 차이점
- 단일 행 함수 : 하나의 행 값이 함수에 적용되어 하나의 행 리턴
- GROUP 함수 : 하나 이상의 행 값이 적용되어 하나의 행 리턴
- 문자열에서 지정한 문자가 위치하는 첫 번째 자리 수를 반환
- 찾는 문자가 없으면 0 반환
- INSTR : 문자 단위 처리
- INSTRB : BYTES 단위 처리
SELECT INSTR('ABC좋은나라DEF웃긴나라', 'D'),
INSTR('ABC좋은나라DEF웃긴나라', '나')
FROM DUAL;
// 결과: 8, 6
- 아래는 문자열의 1번째 자리부터 검색해서 2번째 나타난 '나'의 위치 검색
SELECT INSTR('ABC좋은나라DEF웃긴나라', '나', 1, 2)
FROM DUAL;
// 결과: 13
DUAL TABLE 이란?
SYS USER가 소유하고 있는 단일 행에 단일 컬럼만을 가지는 테이블이다.
주로 일시적 산술 연산이나 날짜 연산을 위하여 사용한다.
- 문자열에서 첫번째 지정된 숫자에 해당하는 자리부터, 두 번째 지정된 숫자에 해당하는 만큼의 문자열을 돌려준다.
- 두 번째 숫자가 생략되면 마지막 문자까지 반환한다.
- INSTRB와 같이 SUBSTRB 존재
- 뒤에서 부터 위치를 카운트하려면 첫번째 인자를 음수로 지정
SELECT SUBSTR('ABC좋은나라DEF웃긴나라', 2, 10)
FROM DUAL;
// 결과: BC좋은나라DEF웃
SELECT SUBSTR('ABC좋은나라DEF웃긴나라', -4, 2)
FROM DUAL;
// 결과: 웃긴
- 문자열의 길이 반환
- LENGTHB 존재
- 문자열이 지정된 숫자만큼의 크기가 되도록 문자열의 왼쪽/오른쪽에 지정한 문자를 채운다.
- 'LPAD(컬럼 or 문자열, 숫자1,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