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에 300여 개의 배포판이 있다.
- 리눅스 커널, GNU 소프트웨어, GNU 라이브러리, 유틸리티, X 윈도 시스템 등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
- Slackware
- 93년 7월 패트릭 볼커딩에 의해 만들어졌고, 가장 오래된 배포판
- Debian
- 93년 9월 이안 머독에 의해 데비안 프로젝트 설립하여 개발, 발표
-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가 편리
- Ubuntu
- 영국 캐노니컬사의 지원을 받아 개발,배포
- 고유한 데스크톱 환경인 유니티 사용
- RedHat
- 유료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무료 페도라로 나누어 배포
-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 레드햇사가 개발,배포하는 상용 리눅스 배포판
- 상용 패키지는 유료이지만, 소스 코드는 무료 공개
- Fedora
- 레드팻의 후원으로 개발, 발표
- RPM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포함
- CentOS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기업용 무료 배포판
- 플랫폼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 자체 커뮤니티에 의해 관리
- SUSE
- 독일에서 개발,발표
- 유럽에서 많이 사용
- Kali
- Offensive Security가 개발한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
- 백트랙처럼 수많은 해킹 도구와 설명서를 포함하고 있음
- SULinux
- 국산 리눅스 배포판이다. 서버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 GNU(GNU is Not Unix)
- GNU는 유닉스가 아니다라는 재귀적 약어
- 리차드 스톨만이 설립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 GNU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
- FSF에서 만든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이다.
- GPL 코드를 사용한 소프트웨어를 내부적인 목적으로만 사용할 때는 소스 코드를 공개할 필요가 없지만, 어떤 형태로든 외부에 공표, 배포할 때는 전체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한다.
- GNU LGPL(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 GPL보다는 훨씬 완화된 조건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 LGPL이 적용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을 경우,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아도 되지만, LGPL 소스 코드를 사용하였음을 명시해야 한다.
-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 소스 코드 공개의 의무가 없으며, 상용 소프트웨어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 Apache License
- 재배포시 원본 또는 수정한 소스 코드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파치 라이선스 2.0을 포함시켜야 하며,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명시해야 한다.
- MIT License
- BSD 라이선스를 기초로 작성된 BSD 계열 라이선스이다.
- 누구나 개작할 수 있고, 수정본의 재배포 시 소스 코드를 비공개할 수 있다.
-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로 X Window System(X11)이 있다.
- MPL(Mozilla Public License)
- 오픈 소스이며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이다.
- 1.0 버전은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사의 미첼 베이커에 의해 개발되었고, 1.1 버전은 모질라 재단이 개발했다.
- 한 권으로 끝내기 리눅스 마스터 2급
- [[1. 리눅스의 이해 - 2 리눅스의 역사 및 철학]]
- [[1. 리눅스의 이해 - 3 리눅스의 특징 및 장 단점]]
- #CS/Linux
- #Linux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