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6e95b0c

Browse files
Update README.ko-KR.md (trekhleb#466)
1 parent 97dd96a commit 6e95b0c

File tree

1 file changed

+149
-0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49
-0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149 @@
1+
# 링크드 리스트
2+
3+
_Read this in other languages:_
4+
[_简体中文_](README.zh-CN.md),
5+
[_Русский_](README.ru-RU.md),
6+
[_日本語_](README.ja-JP.md),
7+
[_Português_](README.pt-BR.md)
8+
9+
컴퓨터과학에서, **링크드 리스트**는 데이터 요소의 선형 집합이며, 이 집합에서 논리적 저장 순서는 메모리의 물리적 저장 순서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각각의 원소들은 자기 자신 다음의 원소를 가리킵니다. **링크드 리스트**는 순서를 표현하는 노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하게, 각각의 노드들은 데이터와 다음 순서의 노드를 가리키는 레퍼런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링크라고 부릅니다.) 이 자료구조는 순회하는 동안 순서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삽입이나 삭제가 가능합니다. 더 복잡한 변형은 추가적인 링크를 더해, 임의의 원소 참조로부터 효율적인 삽입과 삭제를 가능하게 합니다. 링크드 리스트의 단점은 접근 시간이 선형이라는 것이고, 병렬처리도 하지 못합니다. 임의 접근처럼 빠른 접근은 불가능합니다. 링크드 리스트에 비해 배열이 더 나은 캐시 지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0+
11+
![링크드 리스트](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d/Singly-linked-list.svg)
12+
13+
## 기본 연산에 대한 수도코드
14+
15+
### 삽입
16+
17+
```text
18+
Add(value)
19+
Pre: 리스트에 추가할 값
20+
Post: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있는 값
21+
n ← node(value)
22+
if head = ø
23+
head ← n
24+
tail ← n
25+
else
26+
tail.next ← n
27+
tail ← n
28+
end if
29+
end Add
30+
```
31+
32+
```text
33+
Prepend(value)
34+
Pre: 리스트에 추가할 값
35+
Post: 리스트의 맨 앞에 있는 값
36+
n ← node(value)
37+
n.next ← head
38+
head ← n
39+
if tail = ø
40+
tail ← n
41+
end
42+
end Prepend
43+
```
44+
45+
### 탐색
46+
47+
```text
48+
Contains(head, value)
49+
Pre: head는 리스트에서 맨 앞 노드
50+
value는 찾고자 하는 값
51+
Post: 항목이 링크드 리스트에 있으면 true;
52+
없으면 false
53+
n ← head
54+
while n != ø and n.value != value
55+
n ← n.next
56+
end while
57+
if n = ø
58+
return false
59+
end if
60+
return true
61+
end Contains
62+
```
63+
64+
### 삭제
65+
66+
```text
67+
Remove(head, value)
68+
Pre: head는 리스트에서 맨 앞 노드
69+
value는 삭제하고자 하는 값
70+
Post: 항목이 링크드 리스트에서 삭제되면 true;
71+
없으면 false
72+
if head = ø
73+
return false
74+
end if
75+
n ← head
76+
if n.value = value
77+
if head = tail
78+
head ← ø
79+
tail ← ø
80+
else
81+
head ← head.next
82+
end if
83+
return true
84+
end if
85+
while n.next != ø and n.next.value != value
86+
n ← n.next
87+
end while
88+
if n.next != ø
89+
if n.next = tail
90+
tail ← n
91+
end if
92+
n.next ← n.next.next
93+
return true
94+
end if
95+
return false
96+
end Remove
97+
```
98+
99+
### 순회
100+
101+
```text
102+
Traverse(head)
103+
Pre: head는 리스트에서 맨 앞 노드
104+
Post: 순회된 항목들
105+
n ← head
106+
while n != ø
107+
yield n.value
108+
n ← n.next
109+
end while
110+
end Traverse
111+
```
112+
113+
### 역순회
114+
115+
```text
116+
ReverseTraversal(head, tail)
117+
Pre: 같은 리스트에 들어 있는 맨 앞, 맨 뒤 노드
118+
Post: 역순회된 항목들
119+
if tail != ø
120+
curr ← tail
121+
while curr != head
122+
prev ← head
123+
while prev.next != curr
124+
prev ← prev.next
125+
end while
126+
yield curr.value
127+
curr ← prev
128+
end while
129+
yield curr.value
130+
end if
131+
end ReverseTraversal
132+
```
133+
134+
## 복잡도
135+
136+
### 시간 복잡도
137+
138+
| 접근 | 탐색 | 삽입 | 삭제 |
139+
| :---: | :---: | :---: | :---: |
140+
| O(n) | O(n) | O(1) | O(1) |
141+
142+
### 공간 복잡도
143+
144+
O(n)
145+
146+
## 참조
147+
148+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Linked_list)
149+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njTh_OwMljA&index=2&t=1s&list=PLLXdhg_r2hKA7DPDsunoDZ-Z769jWn4R8)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