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Closed
Description
💡 순차탐색
➡️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하는 방법
-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에서 데이터를 찾아야 할 때 사용한다.
- 리스트 내에 데이터가 아무리 많아도 시간만 충분하다면 항상 원하는 원소(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데이터의 정렬 여부와 관계없이 가장 앞에 있는 원소부터 하나씩 확인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이므로
- 데이터 개수가 N개일 대 최대 N번의 비교 연산을 수행한다.
- ✅
시간 복잡도
: O(N)
💡 이진탐색
➡️ 탐색 범위를 반으로 좁혀가며 빠르게 탐색하는 알고리즘
- 배열 내부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특징이 있어 데이터를 매우 빠르게 탐색한다.
- 한 번 확인할 때마다 확인하는 원소의 개수가 절반씩 줄어든다는 점에서 시간 복잡도가 O(logN)이다.
- ✅
시간 복잡도
: O(logN) - ⭐️⭐️ 탐색 범위가 2,000만을 넘어가면 이진 탐색으로 문제를 접근하자.
[이진 탐색의 구현 방법]
이진 탐색은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3개를 사용한다.
-> 탐색 범위의 시작점, 끝점, 중간점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다.!!!!
-
재귀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
반복문을 이용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