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233e960

Browse files
yousriseshia
authored andcommitted
Fix translation
1 parent ba0b6eb commit 233e960

File tree

1 file changed

+12
-12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2
-12
lines changed

ko/news/_posts/2018-11-06-ruby-2-6-0-preview3-released.md

Lines changed: 12 additions & 1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6,7 +16,7 @@ lang: ko
1616

1717
루비 2.6은 JIT(Just-in-time) 컴파일러의 첫 구현체를 포함합니다.
1818

19-
JIP 컴파일러는 루비 프로그램의 실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19+
JIT 컴파일러는 루비 프로그램의 실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2020
다른 언어의 일반적인 JIT 컴파일러와는 다르게, 루비의 JIT 컴파일러는 C 코드를 디스크에 출력한 뒤, 일반적인 C 컴파일러 프로세스를 사용해 네이티브 코드를 생성하도록 합니다.
2121
다음을 참고하세요. [Vladimir Makarov가 작성한 MJIT 구조](https://github.com/vnmakarov/ruby/tree/rtl_mjit_branch#mjit-organization).
2222

@@ -26,15 +26,15 @@ JIT 컴파일을 사용하려면 `--jit` 옵션을 커맨드라인이나 `$RUBYO
2626
이번 JIT 릴리스의 주 목적은 2.6 릴리스 전에 각 플랫폼에서 잘 동작하는지,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하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입니다.
2727
현재 JIT 컴파일러는 루비가 gcc나 clang, Microsoft VC++로 빌드되었으며, 해당 컴파일러가 런타임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에는 아직 이용할 수 없습니다.
2828

29-
2.6.0-preview3에서는 Optcarrot 이라고 불리는 CPU 성능을 요구하는 벤치마크에서 1.7배의 성능 향상을 이루어졌습니다(다음을 참조: https://gist.github.com/k0kubun/d7f54d96f8e501bbbc78b927640f4208). Rails 애플리케이션같은 메모리를 요구하는 작업에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29+
2.6.0-preview3에서는 Optcarrot이라는 CPU 성능을 요구하는 벤치마크에서 1.7배의 성능 향상을 이루었습니다(다음을 참조: https://gist.github.com/k0kubun/d7f54d96f8e501bbbc78b927640f4208). Rails 애플리케이션 같은 메모리를 요구하는 작업에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3030

3131
새로운 루비의 성능을 기대해주세요.
3232

3333
## RubyVM::AST [Experimental]
3434

3535
루비 2.6에는 `RubyVM::AST` 모듈이 도입되었습니다.
3636

37-
이 모듈에은 문자열을 파싱하여 AST(추상구문트리)의 Node를 돌려주는 `parse` 메소드, 파일을 파싱하여 AST의 노드를 돌려주는 `parse_file` 메소드가 들어있습니다.
37+
이 모듈에은 문자열을 파싱하여 AST(추상구문트리)의 노드를 돌려주는 `parse` 메서드, 파일을 파싱하여 AST의 노드를 돌려주는 `parse_file` 메서드가 들어있습니다.
3838
`RubyVM::AST::Node`도 도입되었습니다. 이 클래스의 인스턴스로부터 위치정보나 자식 노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실험적으로 포함되었으며, AST 노드의 구조는 호환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3939

4040
## 새로운 기능
@@ -55,7 +55,7 @@ JIT 컴파일을 사용하려면 `--jit` 옵션을 커맨드라인이나 `$RUBYO
5555

5656
* `Binding#source_location`을 추가했습니다. [[Feature #1423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30)
5757

58-
메소드는 `binding`의 소스 코드 상의 위치를 `__FILE__``__LINE__`을 가지는 배열로 돌려줍니다. 지금까지는 `eval("[__FILE__, __LINE__]", binding)`을 사용하여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만, `Kernel#eval``binding`의 소스 코드의 위치를 무시하도록 변경할 예정입니다. [[Bug #4352]](https://bugs.ruby-lang.org/issues/4352) 그러므로 앞으로는 `Kernel#eval`보다는 새로운 메소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58+
메서드는 `binding`의 소스 코드 상의 위치를 `__FILE__``__LINE__`을 가지는 배열로 돌려줍니다. `Kernel#eval``binding`의 소스 코드의 위치를 무시하도록 변경할 예정입니다. [[Bug #4352]](https://bugs.ruby-lang.org/issues/4352) 그러므로 지금까지 사용하던 `eval("[__FILE__, __LINE__]", binding)`로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없게 됩니다, 앞으로는 `Kernel#eval`보다는 새로운 `Binding#source_location` 메서드를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5959

6060
* `Kernal#system`이 실패했을 경우 `false`를 돌려주는 대신, 에러를 던지도록 하는 `:exception` 옵션을 추가했습니다. [[Feature #14386]](https://bugs.ruby-lang.org/issues/14386)
6161

@@ -76,23 +76,23 @@ JIT 컴파일을 사용하려면 `--jit` 옵션을 커맨드라인이나 `$RUBYO
7676
* Transient Heap(theap)이 도입되었습니다. [Bug #14858] [Feature #14989]
7777
theap은 특정 클래스(Array, Hash, Object, Struct)가 가리키는 짧은 생애를
7878
가지는 메모리 객체들을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작고 짧게 생존하는 Hash 객체는
79-
2배 빨라집니다. rdoc 벤치마크에서 6-7% 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79+
2배 빨라집니다. rdoc 벤치마크에서 6-7%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8080

81-
* `Coverage`의 oneshot_lines 모드 추가. [Feature#15022]
82-
* 이 모드는 "각 줄이 몇 번 실행되었는지" 대신 "각 줄이 한번 이상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각 줄의 훅은 최대 1회만 실행되며, 실행된 후에는 플래그를 제거하기 때문에 오버헤드 없이 실행됩니다.
83-
* `Coverage.start`+:oneshot_lines+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84-
* `Coverage.result`+:stop+과 +:clear+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만약 +clear+가 참이라면, 이는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합니다. 만약 +stop+이 참이라면 커버리지 측정을 비활성화합니다.
85-
* 주어진 소스 코드로부터 "stub"을 생성하는 간단한 헬퍼 함수인 `Coverage.line_stub`을 추가합니다.
81+
* `Coverage`의 oneshot_lines 모드를 추가했습니다. [Feature#15022]
82+
* 이 모드는 '각 줄이 몇 번 실행되었는지' 대신 '각 줄이 한 번 이상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각 줄의 훅은 최대 1회만 실행되며, 실행된 후에는 플래그를 제거하기 때문에 오버헤드 없이 실행됩니다.
83+
* `Coverage.start``:oneshot_lines`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84+
* `Coverage.result``:stop``:clear`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만약 `clear`가 참이라면, 이는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합니다. 만약 `stop`이 참이라면 커버리지 측정을 비활성화합니다.
85+
* 주어진 소스 코드로부터 'stub'을 생성하는 간단한 헬퍼 함수인 `Coverage.line_stub`을 추가합니다.
8686

8787
## 2.5 이후 주목할 만한 변경
8888

8989
* `$SAFE`가 프로세스 전역 변수로 취급되며, `0` 이외의 값을 설정한 후에 `0`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Feature #1425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0)
9090

91-
* `ERB.new``safe_level`을 넘기는 기능이 제거 예정이 되었습니다. 또한 `trim_mode``eoutvar`는 키워드 변수로 변경됩니다. [[Feature #14256]](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6)
91+
* `ERB.new``safe_level`을 넘기는 기능이 제거될 예정입니다. 또한 `trim_mode``eoutvar`는 키워드 변수로 변경됩니다. [[Feature #14256]](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6)
9292

9393
* RubyGems 3.0.0.beta2를 병합했습니다. `--ri``--rdoc` 옵션이 제거되었습니다. 대신에 `--document``--no-document`를 사용해주세요.
9494

95-
* [Bundler](https://github.com/bundler/bundler)를 기본 젬으로 병합됩니다.
95+
* [Bundler](https://github.com/bundler/bundler)를 기본 젬으로 병합했습니다.
9696

9797
자세한 내용은 [뉴스](https://github.com/ruby/ruby/blob/v2_6_0_preview3/NEWS)
9898
[커밋 로그](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2_5_0...v2_6_0_preview3)를 참고하세요.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