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1 | ---
|
2 | 2 | layout: news_post
|
3 |
| -title: "Ruby 2.6.0-rc1 Released" |
| 3 | +title: "루비 2.6.0-rc1 릴리스" |
4 | 4 | author: "naruse"
|
5 |
| -translator: |
| 5 | +translator: "shia" |
6 | 6 | date: 2018-12-06 00:00:00 +0000
|
7 |
| -lang: en |
| 7 | +lang: ko |
8 | 8 | ---
|
9 | 9 |
|
10 |
|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e release of Ruby 2.6.0-rc1. |
| 10 | +루비 2.6.0-rc1의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
11 | 11 |
|
12 |
| -Ruby 2.6.0-rc1 is the first release candidate of Ruby 2.6.0. |
13 |
| -It introduces some new features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for example: |
| 12 | +루비 2.6.0-rc1은 루비 2.6.0의 첫 번째 릴리스 후보입니다. |
| 13 | +이는 다음과 같은 여러 새 기능과 기능 향상을 포함합니다. |
14 | 14 |
|
15 | 15 | ## JIT
|
16 | 16 |
|
17 |
| -Ruby 2.6 introduces an initial implementation of JIT (Just-in-time) compiler. |
| 17 | +루비 2.6은 JIT(Just-in-time) 컴파일러의 첫 구현체를 포함합니다. |
18 | 18 |
|
19 |
| -JIT compiler aims to improve performance of any Ruby program execution. |
20 |
| -Unlike ordinary JIT compilers for other languages, Ruby's JIT compiler does JIT compilation in a unique way, which prints C code to a disk and spawns common C compiler process to generate native code. |
21 |
| -See also: [MJIT organization by Vladimir Makarov](https://github.com/vnmakarov/ruby/tree/rtl_mjit_branch#mjit-organization). |
| 19 | +JIT 컴파일러는 루비 프로그램의 실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
| 20 | +다른 언어의 일반적인 JIT 컴파일러와는 다르게, 루비의 JIT 컴파일러는 C 코드를 디스크에 출력한 뒤, 일반적인 C 컴파일러 프로세스를 사용해 네이티브 코드를 생성하도록 합니다. |
| 21 | +다음을 참고하세요. [Vladimir Makarov가 작성한 MJIT 구조](https://github.com/vnmakarov/ruby/tree/rtl_mjit_branch#mjit-organization). |
22 | 22 |
|
23 |
| -How to use: Just specify `--jit` in command line or `$RUBYOPT` environment variable. |
24 |
| -Specifying `--jit-verbose=1` allows to print basic information of ongoing JIT compilation. See `ruby --help` for other options. |
| 23 | +JIT 컴파일을 사용하려면 `--jit` 옵션을 커맨드라인이나 `$RUBYOPT` 환경 변수에 지정합니다. |
| 24 | +`--jit-verbose=1`을 지정하면 실행 중인 JIT 컴파일의 기본적인 정보를 출력합니다. 다른 옵션에 대해서는 `ruby --help`를 확인하세요. |
25 | 25 |
|
26 |
| -The main purpose of this JIT release is to provide a chance to check if it works for your platform and to find out security risks before the 2.6 release. |
27 |
| -JIT compiler is supported when Ruby is built by GCC, Clang, or Microsoft VC++, which needs to be available on runtime. Otherwise you can't use it for now. |
| 26 | +이번 JIT 릴리스의 주 목적은 2.6 릴리스 전에 각 플랫폼에서 잘 동작하는지,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하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입니다. |
| 27 | +현재 JIT 컴파일러는 루비가 gcc나 clang, Microsoft VC++로 빌드되었으며, 해당 컴파일러가 런타임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에는 아직 이용할 수 없습니다. |
28 | 28 |
|
29 |
| -As of Ruby 2.6.0-rc1, we achieved 1.7x faster performance than Ruby 2.5 on CPU-intensive non-trivial benchmark workload called Optcarrot <https://gist.github.com/k0kubun/d7f54d96f8e501bbbc78b927640f4208>. We're go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n memory-intensive workload like Rails application as well. |
| 29 | +2.6.0-rc1에서는 Optcarrot이라는 CPU 성능을 요구하는 벤치마크에서 1.7배의 성능 향상을 이루었습니다(다음을 참조: https://gist.github.com/k0kubun/d7f54d96f8e501bbbc78b927640f4208). Rails 애플리케이션 같은 메모리를 요구하는 작업에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
30 | 30 |
|
31 |
| -Stay tuned for the new age of Ruby's performance. |
| 31 | +새로운 루비의 성능을 기대해주세요. |
32 | 32 |
|
33 | 33 | ## RubyVM::AbstractSyntaxTree [Experimental]
|
34 | 34 |
|
35 |
| -Ruby 2.6 introduces `RubyVM::AbstractSyntaxTree` module. |
| 35 | +루비 2.6에는 `RubyVM::AbstractSyntaxTree` 모듈이 도입되었습니다. |
36 | 36 |
|
37 |
| -This module has `parse` method which parses a given ruby code of string and returns AST (Abstract Syntax Tree) nodes, and `parse_file` method which parses a given ruby code file and returns AST nodes. |
38 |
| -`RubyVM::AbstractSyntaxTree::Node` class is also introduced. You can get location information and children nodes from `Node` objects. This feature is experimental. Compatibility of the structure of AST nodes are not guaranteed. |
| 37 | +이 모듈에은 문자열을 파싱하여 AST(추상구문트리)의 노드를 돌려주는 `parse` 메서드, 파일을 파싱하여 AST의 노드를 돌려주는 `parse_file` 메서드가 들어있습니다. |
| 38 | +`RubyVM::AbstractSyntaxTree::Node`도 도입되었습니다. 이 클래스의 인스턴스로부터 위치정보나 자식 노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실험적으로 포함되었으며, AST 노드의 구조는 호환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39 | 39 |
|
40 |
| -## New Features |
| 40 | +## 새로운 기능 |
41 | 41 |
|
42 |
| -* Add a new alias `then` to `Kernel#yield_self`. [[Feature #14594]](https://bugs.ruby-lang.org/issues/14594) |
| 42 | +* `Kernel#yield_self`의 별칭으로 `then`이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4594]](https://bugs.ruby-lang.org/issues/14594) |
43 | 43 |
|
44 |
| -* `else` without `rescue` now causes a syntax error. [EXPERIMENTAL] |
| 44 | +* `rescue`가 없는 `else`가 문법 에러가 됩니다. [EXPERIMENTAL] |
45 | 45 |
|
46 |
| -* constant names may start with a non-ASCII capital letter. [[Feature #13770]](https://bugs.ruby-lang.org/issues/13770) |
| 46 | +* ASCII 이외의 대문자로 시작하는 상수를 정의할 수 있게 됩니다. [[Feature #13770]](https://bugs.ruby-lang.org/issues/13770) |
47 | 47 |
|
48 |
| -* endless range [[Feature #12912]](https://bugs.ruby-lang.org/issues/12912) |
| 48 | +* 종료 지정이 없는 범위 연산자. [[Feature #12912]](https://bugs.ruby-lang.org/issues/12912) |
49 | 49 |
|
50 |
| - An endless range, `(1..)`, is introduced. It works as it has no end. This shows typical use cases: |
| 50 | + 종료 지정이 없는 범위 연산자, `(1..)`가 추가됩니다. 이는 끝이 없는 것처럼 취급됩니다. 다음은 전형적인 사용 예시입니다. |
51 | 51 |
|
52 |
| - ary[1..] # identical to ary[1..-1] without magical -1 |
53 |
| - (1..).each {|index| ... } # inifinite loop from index 1 |
| 52 | + ary[1..] # ary[1..-1]와 동치 |
| 53 | + (1..).each {|index| ... } # 1로 시작하는 무한 루프 |
54 | 54 | ary.zip(1..) {|elem, index| ... } # ary.each.with_index(1) { ... }
|
55 | 55 |
|
56 |
| -* Add `Binding#source_location`. [[Feature #1423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30) |
| 56 | +* `Binding#source_location`을 추가했습니다. [[Feature #1423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30) |
57 | 57 |
|
58 |
| - This method returns the source location of binding, a 2-element array of `__FILE__` and `__LINE__`. Traditionally, the same information could be retrieved by `eval("[__FILE__, __LINE__]", binding)`, but we are planning to change this behavior so that `Kernel#eval` ignores binding's source location [[Bug #4352]](https://bugs.ruby-lang.org/issues/4352). So, users should use this newly-introduced method instead of `Kernel#eval`. |
| 58 | + 이 메서드는 `binding`의 소스 코드 상의 위치를 `__FILE__`과 `__LINE__`을 가지는 배열로 돌려줍니다. `Kernel#eval`이 `binding`의 소스 코드의 위치를 무시하도록 변경할 예정입니다. [[Bug #4352]](https://bugs.ruby-lang.org/issues/4352) 그러므로 지금까지 사용하던 `eval("[__FILE__, __LINE__]", binding)`로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없게 됩니다, 앞으로는 `Kernel#eval`보다는 새로운 `Binding#source_location` 메서드를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
59 | 59 |
|
60 |
| -* Add `:exception` option to let `Kernel#system` raise error instead of returning `false`. [[Feature #14386]](https://bugs.ruby-lang.org/issues/14386) |
| 60 | +* `Kernal#system`이 실패했을 경우 `false`를 돌려주는 대신, 에러를 던지도록 하는 `:exception` 옵션을 추가했습니다. [[Feature #14386]](https://bugs.ruby-lang.org/issues/14386) |
61 | 61 |
|
62 |
| -* add the oneshot mode [[Feature#15022]](https://bugs.ruby-lang.org/issues/15022) |
63 |
| - * This mode checks "whether each line was executed at least once or not", instead of "how many times each line was executed". A hook for each line is fired at most once, and after it is fired the hook flag is removed, i.e., it runs with zero overhead. |
64 |
| - * Add `:oneshot_lines` keyword argument to Coverage.start. |
65 |
| - * Add `:stop` and `:clear` keyword arguments to Coverage.result. If `clear` is true, it clears the counters to zero. If `stop` is true, it disables coverage measurement. |
66 |
| - * Coverage.line_stub, which is a simple helper function that creates the "stub" of line coverage from a given source code. |
| 62 | +* `Coverage`의 oneshot_lines 모드를 추가했습니다. [[Feature#15022]](https://bugs.ruby-lang.org/issues/15022) |
| 63 | + * 이 모드는 '각 줄이 몇 번 실행되었는지' 대신 '각 줄이 한 번 이상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각 줄의 훅은 최대 1회만 실행되며, 실행된 후에는 플래그를 제거하기 때문에 오버헤드 없이 실행됩니다. |
| 64 | + * `Coverage.start`에 `:oneshot_lines`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
| 65 | + * `Coverage.result`에 `:stop`과 `:clear`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만약 `clear`가 참이라면, 이는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합니다. 만약 `stop`이 참이라면 커버리지 측정을 비활성화합니다. |
| 66 | + * 주어진 소스 코드로부터 'stub'을 생성하는 간단한 헬퍼 함수인 `Coverage.line_stub`을 추가합니다. |
67 | 67 |
|
68 | 68 | * `FileUtils#cp_lr`. [[Feature #4189]](https://bugs.ruby-lang.org/issues/4189)
|
69 | 69 |
|
70 |
| -## Performance improvements |
| 70 | +## 성능 향상 |
71 | 71 |
|
72 |
| -* Speedup `Proc#call` because we don't need to care about `$SAFE` any more. |
| 72 | +* `Proc#call`이 더 이상 `$SAFE`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
73 | 73 | [[Feature #14318]](https://bugs.ruby-lang.org/issues/14318)
|
74 | 74 |
|
75 |
| - With `lc_fizzbuzz` benchmark which uses `Proc#call` so many times we can measure |
76 |
| - x1.4 improvements [[Bug #10212]](https://bugs.ruby-lang.org/issues/10212). |
| 75 | + `Proc#call`을 대량으로 호출하는 `lc_fizzbuzz` 벤치마크가 1.4배 빨라졌습니다. |
| 76 | + [[Bug #10212]](https://bugs.ruby-lang.org/issues/10212) |
77 | 77 |
|
78 |
| -* Speedup `block.call` where `block` is passed block parameter. [[Feature #14330]](https://bugs.ruby-lang.org/issues/14330) |
| 78 | +* `block`이 블록 파라미터인 경우의 `block.call`이 빨라졌습니다. [[Feature #14330]](https://bugs.ruby-lang.org/issues/14330) |
79 | 79 |
|
80 |
| - Ruby 2.5 improves block passing performance. [[Feature #14045]](https://bugs.ruby-lang.org/issues/14045) |
81 |
| - Additionally, Ruby 2.6 improves the performance of passed block calling. |
82 |
| - With micro-benchmark we can observe x2.6 improvement. |
| 80 | + 루비 2.5에서는 블록 넘기기의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만 [[Feature #14045]](https://bugs.ruby-lang.org/issues/14045), |
| 81 | + 추가로 2.6에서는 넘겨진 블록의 호출이 개선되었습니다. |
| 82 | + 간단한 벤치마크에서 2.6배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
83 | 83 |
|
84 |
| -* Transient Heap (theap) is introduced. [[Bug #14858]](https://bugs.ruby-lang.org/issues/14858) [[Feature #14989]](https://bugs.ruby-lang.org/issues/14989) |
85 |
| - theap is managed heap for short-living memory objects which are pointed by |
86 |
| - specific classes (Array, Hash, Object, and Struct). For example, making small |
87 |
| - and short-living Hash object is x2 faster. With rdoc benchmark, we observed |
88 |
| - 6-7% performance improvement. |
| 84 | +* Transient Heap(theap)이 도입되었습니다. [[Bug #14858]](https://bugs.ruby-lang.org/issues/14858) [[Feature #14989]](https://bugs.ruby-lang.org/issues/14989) |
| 85 | + theap은 특정 클래스(Array, Hash, Object, Struct)가 가리키는 짧은 생애를 |
| 86 | + 가지는 메모리 객체들을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작고 짧게 생존하는 Hash 객체는 |
| 87 | + 2배 빨라집니다. rdoc 벤치마크에서 6-7%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
89 | 88 |
|
90 |
| -## Other notable changes since 2.5 |
| 89 | +## 2.5 이후 주목할 만한 변경 |
91 | 90 |
|
92 |
| -* `$SAFE` is a process global state and we can set `0` again. [[Feature #1425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0) |
| 91 | +* `$SAFE`가 프로세스 전역 변수로 취급되며, `0` 이외의 값을 설정한 후에 `0`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Feature #1425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0) |
93 | 92 |
|
94 |
| -* Passing `safe_level` to `ERB.new` is deprecated. `trim_mode` and `eoutvar` arguments are changed to keyword arguments. [[Feature #14256]](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6) |
| 93 | +* `ERB.new`에 `safe_level`을 넘기는 기능이 제거될 예정입니다. 또한 `trim_mode`와 `eoutvar`는 키워드 변수로 변경됩니다. [[Feature #14256]](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6) |
95 | 94 |
|
96 |
| -* Supported Unicode version is updated to 11. It is planed to update 12 and 12.1 in future TEENY releases of Ruby 2.6. |
| 95 | +* 유니코드 지원 버전이 11.0.0으로 갱신되었습니다. 이는 루비 2.6의 TEENY 릴리스에서 12와 12.1로 갱신될 예정입니다. |
97 | 96 |
|
98 |
| -* Merge RubyGems 3.0.0.beta3. `--ri` and `--rdoc` options was removed. Please use `--document` and `--no-document` options instead of them. |
| 97 | +* RubyGems 3.0.0.beta3를 병합했습니다. `--ri`와 `--rdoc` 옵션이 제거되었습니다. 대신에 `--document`와 `--no-document`를 사용해주세요. |
99 | 98 |
|
100 |
| -* Merge [Bundler](https://github.com/bundler/bundler) as Default gems. |
| 99 | +* [Bundler](https://github.com/bundler/bundler)를 기본 젬으로 병합했습니다. |
101 | 100 |
|
102 |
| -See [NEWS](https://github.com/ruby/ruby/blob/v2_6_0_rc1/NEWS) |
103 |
| -or [commit logs](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2_5_0...v2_6_0_rc1) |
104 |
| -for details. |
| 101 | +[NEWS](https://github.com/ruby/ruby/blob/v2_6_0_rc1/NEWS)나 |
| 102 | +[커밋 로그](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2_5_0...v2_6_0_rc1)에서 |
| 103 | +더 자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05 | 104 |
|
106 |
| -With those changes, |
107 |
| -[6376 files changed, 227364 insertions(+), 51599 deletions(-)](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2_5_0...v2_6_0_rc1) |
108 |
| -since Ruby 2.5.0! |
| 105 | +이러한 변경 사항에 따라, 루비 2.5.0 이후로 |
| 106 | +[파일 6376개 수정, 227364줄 추가(+), 51599줄 삭제(-)](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2_5_0...v2_6_0_rc1)가 |
| 107 | +이루어졌습니다! |
109 | 108 |
|
110 |
| -Enjoy programming with Ruby 2.6.0-rc1! |
| 109 | +루비 2.5.0-rc1을 즐겨보세요! |
111 | 110 |
|
112 |
| -## Download |
| 111 | +## 다운로드 |
113 | 112 |
|
114 | 113 | * <https://cache.ruby-lang.org/pub/ruby/2.6/ruby-2.6.0-rc1.tar.gz>
|
115 | 114 |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