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적 모델링 : 개체(Entity)와 개체(Entity)들 간의 관계에서 ER 다이어그램을 만드는 과정
- 논리적 모델링 :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관계 스키마 모델을 만드는 과정(DBMS에 맞게 Mapping하여 실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기 위한 관계 스키마 모델을 만드는 과정)
- 물리적 모델링 : 관계 스키마 모델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하고 구현하는 과정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의 중요한 부분은 사람, 장소, 물건 같은 다양한 형태를 설계할 때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다.
개체(Entity)
라는 용어는 이렇게 식별할 수 있는 물품을 지칭하는 데 사용한다. 대학 데이터베이스에서 개체의 예로는 교수, 학생, 부서, 수업, 수업분반
등이 있다.
다양한 개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다른 개체와 관련이 되어 있다. 이런 모든 관계들이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에 파악을 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할 때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위험성
들을 피할 수 있도록 확인해야 한다.
지금은 한 가지만 정리하려 한다.
좋지 않은 설계는 정보를 여러 번 반복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수업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와 수업 제목을 각각의 수업분반과 함께 저장한다면, 제목이 각각의 수업분반과 함께 중복되어 저장될 것이다.
수업 식별자만을 수업분반과 함께 저장하고, 그 제목을 수업 개체에 있는 수업 식별자와 단 한번 만 연결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course_id | title | dept_name | division |
---|---|---|---|
1 | 데이터베이스 | 정보통신학부 | A |
2 | 운영체제 | 정보통신학부 | B |
1 | 데이터베이스 | 정보통신학부 | B |
2 | 운영체제 | 정보통신학부 | A |
테이블을 보면서 위에서 말했던 것을 적용해보자. 위와 같이 같은 수업의 속하는 과가 계속 중복되어 저장되는 일이 발생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중복적인 표현이 지니는 가장 큰 문제는 그 정보가 수정될 때, 중복되어 저장되어 있는 모든 복사본들을 수정할 수 있는 예방책들을 세우지 않음으로 인해, 어떤 일부 복사본들은 일관되지 않은 정보를 지니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가령, 어떤 수업의 서로 다른 분반은 동일한 수업 식별자를 지니면서도 서로 다른 제목을 지닐 수도 있다.
정보는 정확히 한 장소에만 위치해야 한다.
course_id | title | division |
---|---|---|
1 | 데이터베이스 | A |
2 | 운영체제 | B |
dept_id | dept_name | course_id |
---|---|---|
1 | 정보통신학부 | 1 |
2 | 컴퓨터공학부 | 3 |
division | course_id |
---|---|
A | 1 |
B | 1 |
위와 같이 테이블을 나눠서 저장한다면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