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 컨텍스트를 이해하면 자바스크립트가 왜 그렇게 동작하는 지 알 수 있다. 바로 코드를 보면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var name = 'Gyuuny'; // (1)변수 선언 (6)변수 대입
function wow(word) { // (2)변수 선언 (3)변수 대입
console.log(word + ' ' + name); // (11)
}
function say() { // (4)변수 선언 (5)변수 대입
var name = 'Gyun'; // (8)
console.log(name); // (9)
wow('hello'); // (10)
}
say(); // (7)
(1) ~ (10)은 위의 코드의 실행 순서를 적어놓은 것이다. 위의 코드의 결과는 무엇이 나올 꺼 같은가? lexical scoping
의 개념을 공부했다면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Gyun
hello Gyuuny
결과는 위와 같다.
처음 코드를 실행(브라우저가 스크립트를 로딩해서 실행)하는 순간 모든 것을 포함하는 전역 컨텍스트
가 생긴다. 모든 것을 관리하는 환경이다.
페이지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된다.
컨텍스트에는 전역 컨텍스트
말고도 함수 컨텍스트
가 존재한다. 자바스크립트는 함수 스코프
를 따라는데 함수를 호출할 때 마다 함수 컨텍스트가 하나씩 더 생긴다.
- 전역 컨텍스트 하나 생성 후, 함수 호출 시 마다 컨텍스트가 생긴다.
- 컨텍스트 생성 시 컨텍스트 안에
변수객체(arguments, variable), scope chain, this
가 생성된다. - 컨텍스트 생성 후 함수가 실행되는데, 사용되는 변수들은 변수 객체 안에서 값을 찾고, 없다면 스코프 체인을 따라 올라가며 찾는다.
- 함수 실행이 마무리되면 해당 컨텍스트는 사라진다.(클로저 제외) 페이지가 종료되면 전역 컨텍스트가 사라진다.
4가지의 원칙을 가지고 위의 코드를 분석해보자.
전역 컨텍스트가 생성된 후 두 번째 원칙에 따라 변수 객체 scope chain, this
가 들어온다. 위의 코드를 보았을 때, 전역 컨텍스트는
arguments(함수의 인자)
가 없고 variable(name, wow, say)
해당 스코프의 변수들이 존재한다.
scope chain(스코프 체인, 자신과 상위 스코프들의 변수객체)
은 자기 자신인 전역 변수 객체이다. 그리고 this
는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window
이다. (this를 바꾸는 방법이 바로 new를 호출하는 것이다.)
전역 컨텍스트
를 객체 형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전역 컨텍스트' : {
변수객체 : {
arguments: null,
variable : ['name', 'wow', 'say'],
},
scopeChain: ['전역 변수객체'],
this: window,
}
wow랑 say는 호이스팅 때문에 선언과 동시에 대입이 된다. 그 후 variable의 name에 'Gyunny'가 대입된다.
variable: [{ name: 'zero' }, { wow: Function }, { say: Function }]
처음 봤던 코드의 (7)에서 say()
를 하는 순간 새로운 컨텍스트인 say 함수 컨텍스트가 생긴다. 위의 전역 컨텍스트는 그대로 존재하고,
지금 생긴 함수 컨텍스트의 arguments
는 없고, variable
은 name이다. scope chain
은 say 변수 객체와 상위의 전역 변수객체이다.
this
는 따로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window
이다.
'say 컨텍스트': {
변수객체: {
arguments: null,
variable: ['name'], // 초기화 후 [{ name: 'Gyun' }]이 됨
},
scopeChain: ['say 변수객체', '전역 변수객체'],
this: window,
}
say를 호출한 후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8)~(10) 실행한다. name 변수는 say 컨텍스트 안에서 찾으면 된다. 그 다음엔 wow('hello')가 있다. say 컨텍스트 안에서 wow 변수를 찾을 수 없다. 찾을 수 없다면 scope chain을 따라 올라가 상위 변수객체에서 찾는다. 그래서 전역 변수객체에서 찾는다. 전역 변수객체의 variable에 wow라는 함수가 있다. 이것을 호출한다.
(10)번에서 wow함수가 호출되었으니 wow 컨텍스트도 생길 것이다. arguments는 word = 'hello'고, scope chain은 wow 스코프와 전역 스코프이다. 여기서 중요한 게 lexical scoping에 따라 wow 함수의 스코프 체인은 선언 시에 이미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say 스코프는 wow 컨텍스트의 scope chain이 아니다. variable은 없고, this는 window이다.
'wow 컨텍스트': {
변수객체: {
arguments: [{ word : 'hello' }],
variable: null,
},
scopeChain: ['wow 변수객체', '전역 변수객체'],
this: window,
이제 컨텍스트가 생긴 후 함수가 실행 된다. say 함수는 아직 종료된 게 아니다. wow 함수 안에서 console.log(word + ' ' + name);이 있는데, word랑 name 변수는 wow 컨텍스트에서 찾으면 된다. word는 arguments에서 찾을 수 있고, name은 wow 변수객체에는 값이 없으니, scope chain을 따라 전역 스코프에서 찾으면 된다.
전역 변수객체로 올라가니 variable에 name이 Gyunny라고 되어 있다. 그래서 hello Gyunny가 되는 겁니다. wow 컨텍스트에 따르면 wow 함수는 애초에 say 컨텍스트와 일절 관련이 없었던 것이다
이제 wow 함수 종료 후 wow 컨텍스트가 사라지고, say 함수의 실행이 마무리된다. 따라서 say 컨텍스트도 사라지고, 마지막에 전역 컨텍스트도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