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85 lines (191 loc) · 12.1 KB

File metadata and controls

285 lines (191 loc) · 12.1 KB

3장: 스프링 DI

DI는 Dependency Injention의 약자로 의존 주입이라고 합니다.

public class Car {
    private Tire tire;

    public Car() {
        this.tire = new KoreaTire();
    }
}

의존성을 단순하게 표현하면 new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위의 코드는 Car가 Tire에 의존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들 아시겠지만 이렇게 내부에서 new를 통해서 객체를 생성하면 유지보수 관점에서 문제점이 존재한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tire

만약에 Tir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KoreaTire, AmericaTire 2개의 클래스가 존재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런 경우에 위에처럼 Car 클래스에 new KoreaTire로 결합을 시켜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클라이언트 코드는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 {
    Car korea = new Car();
    korea.move(); 
  }
}

만약에 위와 같이 클라이언트 쪽에서 코드를 수정하고 있는데 KoreaTire 대신 AmericaTire 라던지 다른 나라의 Tire를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Car 클래스 내부의 코드도 수정이 필요하고 클라이언트 코드의 수정도 필요할 것입니다. 이거부터 SOLID 원칙인 Single Responsibility priciple(딘일 책임 원칙)에 위배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만약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Ca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가 한 10개 정도로 늘어나서 10개의 타이어에 대해서 테스트를 해보아야 하는 상황인데요.

그런데 위처럼 Car 클래스는 KoreaTire 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강한 결합도가 존재한다면 다른 타이어 클래스를 쉽게 바꾸면서 테스트 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외부에서 의존성 주입하기

public class Car {
    private Tire tire;

    public Car(Tire tire) {
        this.tire = tire;
    }
}

위에서 말했던 단점들로 인해서 한 클래스의 의존성은 외부에서 주입해주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을 것입니다.

tire

위와 같이 구조를 바꾸게 되면 자연스럽게 전략 패턴을 사용하게 되는 구조가 나옵니다. 클라이언트 코드를 같이 보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ire tire = new KoreaTire();
        Car car = new Car(tire);
    }
}

위와 같이 클라이언트에서 어떤 타이어를 사용할 것인지를 정하기 때문에 나중에 타이어의 변경이 있어도 클라이언트 코드가 변경하면 됩니다. 즉, Tire 클래스는 모듈화를 시켜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객체 조립기

위의 예시를 들 때는 main 메소드(클라이언트)에서 객체를 생성해서 주입하는 것을 했었는데요. 좀 더 좋은 방법을 생각한다면 객체를 생성하고 주입하는 클래스를 따로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즉, 이것을 조립기 클래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Assembler {
  private Tire tire;

  public Assembler() {
    tire = new KoreaTire();
  }
  // getter 존재
}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 {
    Assembler assembler = new Assembler();
  }
}

그리고 의존 객체의 변경 사항이 있을 때는 Assembler 클래스의 코드만 수정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지 않고도 Dependency Injection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번에는 스프링을 사용해서 한번 해보겠습니다.



스프링의 DI 설정

di

스프링의 삼각형 중에 하나일 정도로 중요한 개념인 DI인데요. 스프링이 DI를 지원하는 조립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생성자 주입

  • setter 주입

  • 필드 주입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을 지원하는 방식은 총 3가지 인데요. 하나씩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생성자 주입

public class Car {
    private Tire tire;

    public Car(Tire tire) {
        this.tire = tire;
    }
}

생성자 주입은 위에서 보았던 예시처럼 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주입을 해주는 것입니다.


Setter 주입

public class Car {
    private Tire tire;

    public Tire getTire() {
        return tire;
    }

    public void setTire(Tire tire) {
        this.tire = tire;
    }
}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ire tire = new KoreaTire();
        Car car = new Car();
        car.setTire(tire);   // setter 의존성 주입
    }
}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면 한번 장착한 타이어는 더 이상 타이어를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운전자가 원할 때 타이어를 교체하고 싶다면 setter 의존성 주입을 사용해야 합니다.



생성자 의존성 주입 vs setter 의존성 주입

하지만 프로그래밍 세계에서는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실세계라면 자동차의 타이어를 바꾸는 일이 빈번할 수도 있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한번 주입된 의존성을 게속 사용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생성자 주입을 선택하라

  •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습니다.(오히려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까지 변하면 안됩니다. 불변해야 합니다.)

  • 수정자 주입을 사용하면 setter 메소드를 public으로 열어두어야 합니다.

  • 누군가 실수로 변경할 수도 있고, 변경하면 안되는 메소드를 public 으로 열어두는 것은 좋은 설계가 아닙니다.

  •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한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는 일이 없습니다. 따라서 불변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setter 주입의 단점을 코드로 알아보겠습니다.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void set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Autowired
    public void setDiscountPolicy(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 itemPrice, discountPrice);
    }
}

코드 자체를 해석하려는 것보다 위의 코드를 보고 왜 setter 주입을 지양해야 하는지 정도의 느낌만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OrderServiceImpl 클래스에 필드로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두개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둘 다 setter 주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때 OrderServiceImpl 클래스 자체만 테스트 하고 싶다면 어떻게 될까요?

class OrderServiceImplTest {

    @Test
    void createOrder() {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 = new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createOrder(1L, "item", 1000);
    }
}

그래서 위와 같이 OrderServiceImpl 클래스의 createOrder 메소드를 테스트 하기 위한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위의 테스트 코드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


스크린샷 2021-04-24 오전 2 48 02

코드의 결과는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합니다.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createOrder() 메소드를 보면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는 두 클래스를 new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setter 주입을 생성자 주입으로 바꿔서 위와 같이 테스트를 진행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 itemPrice, discountPrice);
    }
}

코드는 위와 같이 바뀝니다. 그리고 테스트 코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스크린샷 2021-04-24 오전 2 52 12

이번에는 생성자 주입이기 때문에 OrderServiceImpl 객체를 만들 때 내부 클래스 필드의 객체 생성을 강제하고 있습니다. 즉, 컴파일에러가 발생함으로써 개발자에게 NullPointerException이 날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막게 해줍니다.


스크린샷 2021-04-24 오전 2 53 55

테스트를 위해서 임시로 위와 같이 객체를 new 해서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setter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실수로 객체 생성을 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사람은 반드시 실수를 하기 때문에..)


필드에 final을 써야 하는 이유

위에서 말했듯이.. 사람은 항상 실수를 할 확률이 높습니다. 까먹고 뭐를 안적었다던지.. 등등


스크린샷 2021-04-24 오전 2 57 59

위와 같이 생성자 의존성 주입을 할 때도 생성자에 실수로 필드를 적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기 전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


스크린샷 2021-04-24 오전 3 00 32

그래서 이러한 경우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필드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final 키워드가 붙어있는데 생성자에 초기화 되지 않는다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실수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이번 글에서는 의존성 주입이란 무엇일까?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지금은 마지막에 조금..? 스프링으로 의존성 주입하는 것을 해보았지만.. 처음에 보았던 예시는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의존성 주입을 했던 예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