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1차 정리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Monixc committed Oct 21, 2024
1 parent 1286052 commit ac071cb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13 changed files with 86 additions and 0 deletions.
Binary file added AWS 정리/.space/context.mdb
Binary file not shown.
13 changes: 13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AWS 정리.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3 @@
---
_filters: []
_contexts: []
_links: []
_sort:
field: rank
asc: false
group: false
_template: ""
_templateName: ""
sticker: emoji//1f642
color: var(--mk-color-red)
---
7 changes: 7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AWS.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7 @@
>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Amazon의 자회사
- AWS는 200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중
- 26개의 [[리전]]과 84개의 [[가용 영역]] 을 운영하며,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
- 대한민국에는 서울 [[리전]]과 네 개의 [[가용 영역]]이 존재

### AWS 서비스 라인업
6 changes: 6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IaaS.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6 @@
> [!note]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 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을 의미
- [[인프라]]에는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 영역과 [[가상화]] 기능이 해당된다.
- [[클라우드 공급자]] 는 해당 [[인프라]] 영역을 관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며, [[클라우드 사용자]]가 나머지 영역을 관리한다.

4 changes: 4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PaaS.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 @@
> [!note] Platform as a Service
> [[플랫폼]]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 [[클라우드 공급자]] 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플랫폼]]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사용자]]는 별도의 [[플랫폼]] 을 구축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관리만 담당
4 changes: 4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SaaS.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 @@
>[!note]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영역까지 [[클라우드 공급자]] 가 관리 및 제공하는 유형
- [[클라우드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운영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3 changes: 3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가용 영역.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 @@
> [!note] 가용 영역
> [[리전]] 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별 데이터 센터
3 changes: 3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리전.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 @@
> [!note] 리전
[[클라우드 서비스]] 를 위해 자원이 모여 있는 물리적 데이터 센터의 지리적 위치

4 changes: 4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온프레미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 @@
> [!note] 온프레미스(on-premises)
> 사용자 입장에서 공간, 자원 등 모든 것을 자체적으로 구축 및 운영하는 방식
- 사용자 입장에서 온프레미스 구축 방식은 모든 것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크며, 비용이 크다.
20 changes: 20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클라우드 구축 모델.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0 @@
[[클라우드 서비스]] 를 위한 자원의 소유권, 위치, 주체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 모델로 분류

### 퍼블릭 클라우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클라우드]] 자원을 소유하지 않으며, 자체적인 공간에 위치하지 않고 [[클라우드 공급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서비스의 주체가 ==[[클라우드 공급자]]==

- 대표적인 서비스: [[AWS]], [[GCP]], [[Microsoft Azure]]
- [[온디맨드]] 형태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 공급자]]에게서 IT 자원을 할당받아 확장성이 우수하며, 여러 국가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서비 제공에 유리

### 프라이빗 클라우드
사용자 전용 [[클라우드]] 환경으로, 자원의 소유권은 사용자한테 있고,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환경에 구축되어 서비스를 받는 환경
서비스의 주체가 ==사용자==

- [[온프레미스]] 환경에 구축되어 보안이 우수하지만, [[#퍼블릭 클라우드]]보다 서비스 확장성이 떨어짐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단점을 보완하려고 등장한 [[클라우드]] 모델
다수의 클라우드 시스템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퍼블릭 + 프라이빗 등)


6 changes: 6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클라우드 서비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6 @@
### 서비스 제공 형태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 제공 형태에 따라 [[클라우드 구축 모델#퍼블릭 클라우드]], [[클라우드 구축 모델#프라이빗 클라우드]], [[클라우드 구축 모델#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구분된다.

### 서비스 유형
서비스 관리 주체와 수준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IaaS]], [[PaaS]], [[SaaS ]]로 구분할 수 있다.

14 changes: 14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클라우드 컴퓨팅.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4 @@
> [!note]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을 통해 IT 자원 요구에 따라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 IT 자원을 구축하는 전통적인 방법에 [[온프레미스]] 구축방법이 있다.
- [[온프레미스]] 방식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IT 자원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클라우드]] 구축 방법이 떠오르고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요구가 있을 때 즉시 [[온디맨드]] IT 자원을 제공하며,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이다.
- [[AWS]] 와 같은 [[클라우드]] 공급자에게 필요에 따라 다양한 IT 자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
1. 민첩성 : [[클라우드]] 를 통해 광범위한 기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모든 것을 빠르고 혁신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2. 탄력성: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처럼 향후 비즈니스 확장을 고려한 IT 자원을 사전에 구성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 자원을 할당 받아 사한다. 비즈니스 요구가 가변적인 상황에서 자원을 손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3. 비용 절감: 클라우드 컴퓨팅은 `Pay Per Use`로, IT 자원을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여,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2 changes: 2 additions & 0 deletions AWS 정리/클라우드.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 @@
> [!note] 클라우드
> 눈에 보이지 않는 형태로 집합되어 있는 IT 자원들

0 comments on commit ac071cb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