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38
[Korean] api.md #53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Korean] api.md #53
Conversation
|
||
- #### `template` | ||
|
||
전체 페이지 HTML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십시오. 템플릿에는 렌더링된 앱 컨텐츠의 플레이스홀더 역할을 하는 주석 `<!--vue-ssr-outlet-->`이 있어야 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제공하십시오
→ 제공합니다
는 어떠신가요?
플레이스홀더
를 구독자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번역되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템플릿입니다 로 변경했습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placeholder를 병기했습니다
템플릿은 렌더링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기본 인터폴레이션을 지원합니다. | ||
|
||
- 이중 mustache를 이용해 HTML 이스케이프 인터폴레이션을 합니다. | ||
- 삼중 mustache를 이용해 비 HTML 이스케이프 인터폴레이션을 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쪽은 뭔가 원문내용이 일부 포함해야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함께 표시하도록 변경했습니다
|
||
- `context.head`: (string) 페이지 head에 삽입되어야하는 마크업 | ||
- `context.styles`: (string) 페이지 head에 삽입되어야하는 모든 인라인 CSS. 컴포넌트 CSS에 `vue-loader` + `vue-style-loader`를 사용하는 경우 이 속성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 ||
- `context.state`: (Object) `window.__INITIAL_STATE__`에서 반드시 인라인되어야하는 초기 Vuex 스토어 스테이트 인라인된 JSON은 XSS를 방지하기 위해 [serialize-javascript](https://github.com/yahoo/serialize-javascript)를 사용해 자동으로 삭제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스토어, 스테이트라고 표현되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지만 store, state 원문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하는게 이해하기 더 좋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
기본적으로 각 렌더에 대해 번들 렌더러는 새로운 V8 컨텍스트를 만들고 전체 번들을 다시 실행합니다. 이는 몇가지 장점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서버 프로세스와 분리되어 있으며 문서에 언급된 [stateful singleton problem](./structure.md#avoid-stateful-singletons)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번들을 다시 실행하는 것은 앱이 커지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 모드는 상당한 성능 비용을 발생시킵니다. | ||
|
||
이 옵션은 하위 호환성을 위해 `true`가 기본값이지만 가능할 때마다 `runInNewContext: false` 또는 `runInNewContext: 'once'`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중간에 중복공백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
||
이 옵션은 하위 호환성을 위해 `true`가 기본값이지만 가능할 때마다 `runInNewContext: false` 또는 `runInNewContext: 'once'`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
> 2.3.0에서 이 옵션은 `runInNewContext: false`가 별ㄷ로의 전역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번들을 실행하는 버그가 있습니다. 2.3.1버전 이후 버전을 사용한다고 가정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별ㄷ로의
→ 별도의
|
||
`runInNewContext: false`를 사용하면 번들 코드가 서버 프로세스와 동일한 `global` 컨텍스트에서 실행되므로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global`을 수정하는 코드를 주의해야 합니다. | ||
|
||
`runInNewContext: 'once'`(2.3.1+)를 사용하면 번들은 별도의 `global` 컨텍스트로 평가되지만 시작할 때 한번뿐입니다. 번들이 실수로 서버 프로세스의 `global` 객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므로 더 안전한 코드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한번뿐입니다.
→ 한 번뿐입니다.
- 2.2.0+ | ||
- `createBundleRenderer`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
`node_modules` 종속성 처리를 위해 서버 번들의 기본 디렉토리를 명시적으로 선언해야합니다. 생성된 번들 파일이 외부화된 NPM 종속성이 설치되어있거나 `vue-server-renderer`가 npm으로 연결된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필요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dependencies
의 경우 종속성
보다는 의존성
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 ||
``` | ||
|
||
캐시 객체는 최소한 `get`과 `set`을 구현해야합니다. 또한 두번째 전달인자를 콜백으로 허용하면 `get`과 `has`는 선택적으로 비동기화 할수 있습니다. 이렇게하면 캐시에서 비동기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redis 클라이언트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선택적으로 비동기화 할수 있습니다
→ 선택적으로 비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감사합니다 👍
Check out a review request at GitLocaliz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