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Dashboard guide
Developer Dashboard의 Operate 탭에서는 여러 Unity Project의 수익화를 관리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합니다. 대시보드에서는 수익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플레이스먼트, 필터, 테스트 기기, IAP 프로모션, 수익 보고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는 기본값으로 조직(Organization) 레벨로 진입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Unity 조직 참조). Operate 기본 페이지의 정보는 특정 프로젝트가 아닌 전체 조직에 적용됩니다.
왼쪽 내비게이션을 사용하여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Dashboard를 선택하면 조직의 전체 수익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Total Revenue(총 수익), Total DAU(총 일간 이용자 수), Total New Users(총 신규 사용자 수)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필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플랫폼별 또는 기간별로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Projects(프로젝트)를 선택하면 조직 프로젝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목록 보기에서는 각 프로젝트의 Total Revenue(총 수익), Ad Revenue(광고 수익), New Users(신규 사용자), DAU(일간 이용자 수) 및 ARPDAU(일간 이용자 평균 수익)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운영 설정을 관리하려면 목록에서 아무 프로젝트나 선택하십시오(프로젝트 레벨 내비게이션 섹션 참조).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 관리 섹션을 참조하세요.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Ads Data Export(광고 데이터 익스포트) > Email & CSV(이메일 및 CSV)를 선택하면 조직의 수익화 보고서를 익스포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수익화 통계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Ads Data Export(광고 데이터 익스포트) > Test Devices(테스트 기기)를 선택하여 iOS 또는 Android 기기를 등록하면 수익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Unity Ads 또는 IAP 통합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게임 퍼블리시하기 전 통합 테스트에서 부정적발(fraud)을 피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첫 입력 필드에 기기 이름, 두 번째 입력 필드에 IDFA(ID for advertising, 광고용 ID)를 입력합니다. 기기의 IDFA를 확인하는 자세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ID 찾기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조직의 API 키를 확인하려면,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Ads Data Export > API Access(API 액세스)를 선택하십시오. 수익화 통계 API를 통해서 보고서를 생성할 때 이 키가 필요합니다.
자동 결제를 구성하려면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Invoicing(인보이스)을 선택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수익 및 지급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프로젝트의 대시보드 설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려면 프로젝트를 선택하십시오.
왼쪽 내비게이션을 사용하여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Overview(개요)를 선택하면 프로젝트의 전체 수익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Total Revenue, Average DAU(평균 DAU), Day 1 Retention(1일차 리텐션)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필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플랫폼별 또는 기간별로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Reporting(보고) > Ad Revenue(광고 수익)를 선택하면 프로젝트의 세분화된 광고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몇 가지 방법으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 플랫폼 또는 기간별로 데이터를 필터링합니다.
- 원하는 기준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합니다.
- 비교 필드를 변경하여 여러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값을 비교합니다.
- Compare Date(날짜 비교)는 선택된 기간부터 일간 광고 수익을 표시합니다.
- Compare Platform(플랫폼 비교)는 Google Play 스토어, Apple 앱 스토어 및 Others(기타) 플랫폼의 광고 수익을 비교하여 표시합니다.
- Compare Country(국가 비교)는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 Canada(캐나다), China(중국), Germany(독일), France(프랑스), United Kingdom(영국), Japan(일본), South Korea(대한민국), Russia(러시아), Taiwan(타이완), Unites States(미국) 및 Others(기타) 국가의 광고 수익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표시합니다.
- Compare to previous period(이전 기간과 비교)는 현재 기간의 수익을 상응하는 이전 기간의 수익과 비교합니다.
- Compare Placements(플레이스먼트 비교)는 각 플레이스먼트의 광고 수익을 다른 플레이스먼트와 비교하여 표시합니다.
- Compare All Projects(전체 프로젝트 비교)는 현재 프로젝트의 수익을 Unity Ads가 활성화된 조직의 다른 프로젝트의 수익과 비교하여 표시합니다.
- 데이터를 스플라인 차트 또는 막대 차트 형식으로 보거나 CSV 파일로 익스포트할 수 있습니다.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Reporting > IAP Purchases(IAP 구매)를 선택하면 프로젝트의 세분화된 인앱 구매(IAP)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기간별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스플라인 차트, 막대 차트 또는 누적 차트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Reporting > IAP Promotions(IAP 프로모션)를 선택하면 프로젝트의 IAP Promo 성과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mo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IAP Promo 통합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다음과 같이 프로모션 및 기간을 기준으로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 IAP Revenue(IAP 수익): Promo 상품에서 발생하는 누적 수익입니다.
- Users(사용자): Promo 상품에 노출된 사용자 수입니다.
- ARPPU: 유료 사용자당 평균 수익입니다.
- Conversions(전환): 노출된 사용자 중에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비율입니다.
- Return Rate(7 days)(7일차 유지율): Promo 상품 노출 후 7일차의 사용자 리텐션입니다.
타임라인에서 아무 분할 기준 위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해당일의 전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플레이스먼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려면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Monetization(수익화) > Placements를 선택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플레이스먼트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Monetization > Platforms(플랫폼)을 선택하면 플랫폼별로 게임 ID를 조회하고 스토어 세부 사항을 관리하고 광고 필터와 플랫폼 설정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의 플랫폼 필터 및 설정에 액세스하려면 플랫폼 스토어를 선택하세요.
- Unity Ads SDK는 게임 스크립트에서 초기화할 때 프로젝트의 게임 ID를 요구합니다.
- 퍼블리시된 소매 제품에 게임을 연결하려면 해당 스토어의 ADD STORE DETAILS(스토어 세부 사항 추가)를 클릭합니다.
Unity Ads는 특정 콘텐츠에 맞게 인구 통계적 특성을 표적화하여 광고 전략을 세부 조정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합니다. AD FILTERING(광고 필터) 탭을 선택하고 다음 카테고리를 사용하면 특정 콘텐츠를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 GAME CATEGORIES(게임 카테고리): 이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장르의 게임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 OTHER CATEGORIES(기타 카테고리): 이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콘텐츠나 주제를 다루는 게임의 광고 콘텐츠를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 EXCLUDE CONTENT(콘텐츠 제외): 이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연령 등급을 대상으로 하는 앱의 광고 콘텐츠를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SAVE(저장)를 클릭하고 선택 사항을 적용하십시오.
특정 콘텐츠 결과물을 확실하게 제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게임이 13세 미만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다음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도박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접할 확률을 안전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 [GAME CATEGORIES] 카지노
- [OTHER CATEGORIES] 복권 및 도박
- [EXCLUDE CONTENT] 13+ 등급 광고 표시 안 함
참고: 광고 콘텐츠를 필터링하는 것은 종종 이로울 수 있지만 광고를 불러오는 풀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이 따를 수 있습니다. 베스트 프랙티스 가이드에서 이러한 손익계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고 필터링에 대한 추가 질문이나 특별한 요청은 Unity Ads 지원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SETTINGS(설정) 탭을 선택하면 다음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PLATFORM OVERVIEW(플랫폼 개요)는 Game ID(게임 ID), Store Game ID(스토어 게임 ID) 및 Store game name(스토어 게임 이름) 등 핵심적인 정보를 보여줍니다. 참고로 이러한 설정은 읽기 전용이며 이 메뉴에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 VIDEO ORIENTATION(동영상 방향)은 게임에서 표시할 동영상 화면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해 줍니다. use video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device(기기 방향에 따라 동영상 방향 적용)로 토글하지 않으면 광고 기본값인 랜드스케이프 모드가 적용됩니다.
- TEST MODE(테스트 모드)는 라이브 광고를 사용하지 않고 통합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설정을 사용하면 기기의 프로그램 설정을 오버라이드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먼저 override client test mode(클라이언트 테스트 모드 오버라이드)로 토글한 다음, Force test mode (i.e. use test ads) for all devices(테스트 광고 등을 사용하여 모든 기기에서 테스트 모드 강제)에 확인 표시하면 됩니다. 통합을 테스트하기 전에 테스트 모드를 활성화해야만 부정행위 적발(fraud)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ADS DELIVERY STATUS(광고 전달 상태)를 이용하면 애플리케이션에 광고 제공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건너뛴다고 해서 광고를 표시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Unity의 일부 광고 파트너들은 이 정보를 요구합니다. 수익 기회를 최대화하려면 이를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Google Play 스토어의 경우, 아래 URL에서 하이라이트 표시된 사항과 같이 게임 URL에서 Google Play Store ID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Apple 앱 스토어의 경우에는 아래 URL에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사항과 같이 게임 URL에서 Apple 앱 스토어 ID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참고: 앱을 퍼블리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 Unity가 ID를 조회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퍼블리시 시점 이후 5~7일 뒤에 다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프로젝트에 IAP 제품 카탈로그를 임포트하고 관리하려면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Monetization > Define In-App Purchases(인앱 구매 정의)를 선택하십시오. 전체 가이드는 제품 카탈로그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프로젝트에 플레이스먼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려면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Monetization > Configure IAP Promotions(IAP 프로모션 구성)를 선택하십시오. 전체 가이드는 프로모션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Unity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독자적인 기능을 활용하면 게임을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튜토리얼 매니저는 여러분의 튜토리얼을 플레이어 각자에게 맞게 적용해 줍니다. Unity는 노련하고 경험 많은 플레이어든 처음 시작하는 플레이어든 누구에게나 알맞은 경험을 제공하여 게임 리텐션을 강화합니다.
튜토리얼 매니저 사용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CONTACT US TO LEARN MORE(문의하여 자세히 알아보기)를 클릭하고 웹 양식을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LiveTune은 복잡한 콘텐츠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어느 기기에서든 최적의 품질과 프레임 속도 성능을 제공합니다. LiveTune에서는 성능과 품질 설정을 확장형 단계로 그룹화할 수 있으며, LiveTune이 모든 기기에 맞는 최적의 품질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수천 개 기기를 대상으로 대규모의 성능 및 품질 최적화를 지원해 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LiveTune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A/B 테스트를 수행하여 게임을 개선해 보십시오. 데이터에 근거하여 최적의 설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통찰력을 활용해 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A/B 테스트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원격 설정을 사용하면 대시보드에서 게임의 프로퍼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릴리스하지 않고도 게임의 형상이나 동작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격 설정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Unity 애널리틱스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통해 게임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세분화된 내용은 애널리틱스 대시보드를 참조하세요.
여기에서는 Project name(프로젝트 이름), Project ID(프로젝트 ID), COPPA designation(COPPA 등급) 및 앱 스토어 ID 등 프로젝트에 대한 핵심적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원클릭 복사 아이콘을 이용하면 각각의 프로퍼티를 쉽게 복사하여 코드나 필요한 대시보드 영역에 쉽게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Unity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고유 설정에 액세스하는 메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애널릭스 설정 참고 문서를 참조하세요.
프로젝트를 관리하려면 Developer Dashboard에서 Operate 탭으로 이동한 다음 선택된 프로젝트가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Projects(프로젝트)를 선택하면 조직 프로젝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선택된 조직 아래에서 NEW PROJECT(새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Add new project(새 프로젝트 추가) 대화창에서 다음 정보를 입력합니다.
-
Project name은 대시보드 UI에서 프로젝트를 식별하는 제목에 해당합니다.
-
Apple 앱 스토어 ID는 선택사항이지만, 제3자 광고 파트너에 대한 액세스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퍼블리시된 게임에 권장합니다.
-
Google Play 스토어 ID는 선택사항이지만, 제3자 광고 파트너에 대한 액세스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퍼블리시된 게임에 권장합니다.
참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Monetization > Platforms > ADD STORE DETAILS를 선택하여 언제든지 스토어 ID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관련 스토어 ID를 찾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토어 세부 사항 추가 섹션을 참조하세요.
-
미국 내 13세 미만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게임의 경우 COPPA 규제 등급에 선택 표시하십시오.
프로젝트를 생성하려면 ADD PROJECT(프로젝트 추가)를 클릭하십시오. Developer Dashboard에서 생성된 프로젝트는 자동으로 Operate 서비스가 활성화됩니다.
Unity 에디터에서 생성된 프로젝트는 Operate 서비스를 활성화하지 않는 것이 기본값입니다. 프로젝트의 Operate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대시보드 프로젝트 목록에서 선택하면 활성화할 수 있는 대화창이 나타납니다.
TURN ON OPERATE(Operate 켜기)를 클릭한 다음 앱 스토어 ID와 COPPA 규제 등급을 적절히 설정하여 서비스를 활성화하십시오.
프로젝트 이름을 편집하거나 다른 조직으로 이동하려면 Developer Dashboard에서 Develop(개발) 탭으로 이동한 다음 왼쪽 내비게이션에서 Settings(설정) > General(일반)을 선택하십시오.
이 도움말 문서에서 대시보드의 지저분한 기존 프로젝트들을 아카이브하고 아카이브된 프로젝트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방법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